728x90
반응형
IT 5분 잡학사전 Today I Learned
[오늘 TIL 3줄 요약]
- 프로그램은 책임있게 만들고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.
-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이고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.
- Git은 파일의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고 GitHub는 파일과 깃으로 관리한 이력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공간이다.
[TIL (Today I Learned) 날짜]
2024.04.21
[오늘 읽은 범위]
Ep.30 ~ Ep.34
[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]
- 레거시란? : 오래전에 개발된 시스템
- 프로그램은 책임 있게 만들어야 한다.
- 프로그램은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. >> 개발자라면 코드를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꾸준히 관리해야한다.
-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이다.
- DBMS(Database Managment System)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MySQL, Oracle, MariaDB등이 있다.
- ORM(Object Relational Mapping)은 개발자에게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SQL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.
- NoSQL의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와 키값 데이터베이스, 그래프 데이터베이스가 있다.
-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(Document DB) : 대표적으로 몽고DB가 있고 데이터를 JSON 도큐먼트 형태로 저장
- 키값 데이터베이스(Key-Value DB) : 대표적으로 카산드라DB, 다이나모DB가 있고 읽고 쓰는 속도가 매우 빠름
- Git은 파일의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고 GitHub는 파일과 깃으로 관리한 이력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공간이다.
- Git의 특징 및 장점
- 같은 파일이라도 다른 버전으로 보관 가능
- 같은 파일을 푸시해서 각자 컴퓨터에서 작업한 뒤 다른 팀원이 변경한 부분과 내가 변경한 부분을 비교하서 합칠 수 있다. => 병합(Merge)" 기능
- GitHub
- 파일 뿐만 아니라 깃으로 관리한 파일 이력도 공유가능
- 깃 이력을 업로드 하는 것을 푸시, 내려받는 것을 풀이라고 함
- SemVer 특징
- 숫자 3개를 사용하는 버전 표기 방식
-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
- 첫번째 숫자는 프로그램이 엄청 큰 변화가 생겼을때
- 중간숫자는 마이너한 업데이트를 의미 / 내 프로젝트 코드를 완전히 갈아 치울 필요가 없는 업데이트
- 마지막 숫자는 패치나 버그 수정을 의미
[오늘 읽은 소감과 떠오르는 생각]
- 오늘도 역시 애매하게 헷갈리거나 몰랐던 가려웠던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준 기분😍
- SQL과 MySQL에 대해서 개념이 잘 안잡혀 있었는데 이제 확실하게 설명 가능!!!!!!(자신감 뿜뿜💪🏻)
- 몽고DB가 뭔지 궁금했는데 그런거였구나!
[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]
없음.
#노개북 #노마드코더 #개발자북클럽
728x90
반응형
'Front-End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39 ~ Ep.45 / Day13 (0) | 2024.04.25 |
---|---|
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35 ~ Ep.38 / Day12 (0) | 2024.04.23 |
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26 ~ Ep.29 / Day9 (0) | 2024.04.21 |
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22 ~ Ep.25 / Day7 (0) | 2024.04.19 |
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06 ~ Ep.10 / Day2 (0) | 2024.04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