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Coding With Jina/JavaScript58

[자바스크립트] 문자열 FONTCOLOR () 메서드 내가 원했던 것 : 5의 배수가 맞으면 입력한 숫자의 색깔이 블루, 틀리면 빨강으로 변하게 하고 싶었음 일반 텍스트가 아닌 변수 안에 들어가있는 값의 스타일을 변경하고 싶을때 사용 여기서 num은 변수이므로 css로 변경하기 힘듬 → num.fontcolor("blue") 이런식으로 사용 var resultArea = document.querySelector("#result"); function input(){ var num = document.querySelector("#input").value; console.log(num); if(num === null || num === ""){ resultArea.innerHTML="숫자를 입력해주세요.."; }else if(num == 0 || num>=101.. 2020. 11. 29.
[1분코딩] 자바스크립트 기초 - 객체 1분 코딩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의 Part 2 정리 [객체] → 자바스크립트에서의 객체는 복합자료형이므로 여러가지 형태가 들어갈 수 있음 1)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-① → 객체 인스턴스를 먼저 생성한 후에 프로퍼티 추가하는 방법 //사람을 하나 생성 var person={}; var p = new Object(); //이런식으로도 생성가능하지만 잘 사용하지 않음 //사람의 특징 //person 이라는 객체에 속성을 추가할때에는 . 을 붙이고 쓴다 //속성(property) : 그냥 값들을 가진 애들 person.name='진아리'; person.age='31'; //사람의 동작 //익명함수 : 이름이 없는 함수 //메서드(method) : 속성중에 값이 함수인 애들, 기능 동작을 하는 애들 perso.. 2020. 11. 26.
[자바스크립트] while문을 이용한 팩토리얼 계산기 ◆ 자바스크립트 → 원래는 input을 이용하여 입력값을 받아보려고 했으나 form 태그를 이용해야해서 그냥 prompt로 받음 → n : 사용자가 입력하는 숫자이자 i가 반복되는 횟수의 숫자 → nFact : 결과값(어짜피 곱하는 거기때문에 기본값 1로 지정) → i : 반복되는 곱해지는 숫자 팩토리얼은 n까지 1씩 증가하여 반복되는 숫자를 모두 곱하는 것이고 여기서는 i=2부터 시작하기때문에 i는 2부터 n까지 반복되어 증가하는 숫자를 뜻함 var n = prompt("숫자를 입력해보세요!"); var nFact = 1; //1을 기본값으로 지정 var i =2; //1!=1이므로 i는 2부터 시작 while(i 2020. 11. 25.
[자바스크립트] for 문을 이용한 구구단 만들기 ◆ 자바스크립트 → k가 변수인 for문 안에 i가 변수인 for문을 중첩함 → 구구단은 2단부터 있으므로 k=2부터 시작함 // k : 몇 단인지 for(var k=2; k 2020. 11. 25.
[1분코딩] 자바스크립트 기초 - 변수 1분 코딩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의 Part 2 정리 [변수] 1) 변수의 유효범위(Scope) 1-1) 전역변수 → 모든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 → 연결되어있는 다른 파일에서도 접근가능 var a = 100; //전역변수 console.log(a); //콘솔창에 100이 출력됨 function sample(){ console.log('sample함수에서 출력한' + a); //콘솔창에 결과값 출력됨 } sample(); // 함수 실행 //other파일에서도 a 변수에 접근 가능 1-2) 지역변수 → 변수가 선언된 함수 안에서만 사용 가능 → 변수가 선언된 함수가 종료되면 변수도 같이 사라짐 function sample2(){ var b = 200; //지역변수 console.log('sample함수.. 2020. 11. 17.
[1분코딩] 자바스크립트 기초 - 함수와 return 1분 코딩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의 Part 2 정리 [함수] 1) 함수생성법 function 함수이름(){ console.log('ㅋㅋㅋㅋ'); } 2) 함수 호출 방법 → 반드시 함수를 호출해야 함수가 실행됨 함수이름(); //콘솔창에 ㅋㅋㅋㅋ가 출력됨 3) 함수 속 매개변수 3-1) 매개변수가 1개인 함수 function 인사(이름){ console.log('내 이름은'+이름+'입니다.'); } //함수호출 인사('지나리'); //콘솔창에 내 이름은 지나리입니다. 가 출력됨 3-2) 매개변수가 2개인 함수 //a와 b는 더하기 함수의 매개변수(parameter) function 더하기(a, b){ console.log(a+b); } //함수호출 더하기(1,2); //콘솔창에 3이 나옴 [return].. 2020. 11. 11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