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0 [코딩테스트] 백준 1157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백준 1157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❓ 문제알파벳 대소문자로 된 단어가 주어지면,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. 💻 입력첫째 줄에 알파벳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주어진다. 주어지는 단어의 길이는 1,000,000을 넘지 않는다. 📈 출력첫째 줄에 이 단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을 대문자로 출력한다. 단,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?를 출력한다. 👩🏻 내가 제출한 코드const input = require("fs").readFileSync("dev/stdin").toString().trim();const alpha.. 2024. 4. 23. [자바스크립트/ES6] for...in 문 / 배열객체마다 반복되는 실행문 for...in문 객체의 모든 열거 가능한 속성을 반복하는 데 사용 주로 객체의 속성(키)을 통해 반복하고자 할 때 사용 객체 속성에 접근할 때 사용 const obj = { a: 1, b: 2, c: 3 }; for (const key in obj) { console.log(key, obj[key]); // 'a' 1, 'b' 2, 'c' 3 } 2024. 4. 23. [코딩테스트] 백준 11720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백준 11720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❓ 문제N개의 숫자가 공백 없이 쓰여있다. 이 숫자를 모두 합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💻 입력첫째 줄에 숫자의 개수 N 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숫자 N개가 공백없이 주어진다. 📈 출력입력으로 주어진 숫자 N개의 합을 출력한다. 👩🏻 내가 제출한 코드const input = require("fs").readFileSync("dev/stdin").toString().trim().split("\n");const N = parseInt(input[0]); const num = input[1].split(''); let result = 0;for (let i = .. 2024. 4. 23. [코딩테스트] 백준 9046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백준 9046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❓ 문제암호학에서 치환 암호(substitution cipher)란, 평문에 들어있는 각각의 문자를 주어진 치환 방법으로 암호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.가장 단순한 방법은 평문의 알파벳을 암호문의 알파벳으로 대치시켜 치환시키는 것이다.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은 알파벳 대치표가 주어졌다고 하자.평문 알파벳 대치표 : abcdefghijklmnopqrstuvwxyz암호문 알파벳 대치표 : wghuvijxpqrstacdebfklmnoyz위에 주어진 치환 방법을 통해 암호화하면 평문 "hello there"은 "xvssc kxvbv"가 된다.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영어 문법 특성상, 알파벳 'e'가 다른 영문 알파벳에 비해 자주 쓰인다는 .. 2024. 4. 22. [코딩테스트] 백준 2558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백준 2558번 Node.js(자바스크립트) 풀이 ❓ 문제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💻 입력첫째 줄에 A, 둘째 줄에 B가 주어진다. (0 📈 출력첫째 줄에 A+B를 출력한다. 👩🏻 내가 제출한 코드let input = require('fs').readFileSync('/dev/stdin').toString().split('\n');console.log(Number(input[0]) + Number(input[1])); 👩🏻💻 풀이//split 메서드를 사용하여 첫째 줄과, 둘째 줄을 구분해주고let input = require('fs').readFileSync('/dev/stdin').toSt.. 2024. 4. 21. [TIL] 개발자북클럽 IT잡학사전 Ep.30 ~ Ep.34 / Day10 IT 5분 잡학사전 Today I Learned [오늘 TIL 3줄 요약] 프로그램은 책임있게 만들고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. SQL은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이고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. Git은 파일의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고 GitHub는 파일과 깃으로 관리한 이력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공간이다. [TIL (Today I Learned) 날짜] 2024.04.21 [오늘 읽은 범위] Ep.30 ~ Ep.34 [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] 레거시란? : 오래전에 개발된 시스템 프로그램은 책임 있게 만들어야 한다. 프로그램은 끊임없이 관리해야 한다. >> 개발자라면 코드를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꾸준히 관리해야한다.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은 데이터베이스.. 2024. 4. 21. 이전 1 2 3 4 5 6 7 8 ··· 37 다음 728x90 반응형